1. 시급기준
2026년부터 적용되는 최저시급은 10,320원으로 결정되었어요. 이는 2025년도 시급인 10,030원보다 2.9% 인상되어 +290원이 오른 금액이랍니다. 작년의 최저시금 인상률이 1.9%였던 것에 비하면 조금 오른 인상폭이네요. 최저임금이 고용주와 피고용인사이에서는 서로 다른 의견이 팽팽한 만큼 이번 결정도 쉽지는 않았겠습니다.
2. 일급 기준
그럼 이번 시급은 일급 기준으로 얼마일까요? 하루 8시간 노동한다치고 계산해 보았습니다. 일급으로는 10,320원*8시간= 82,560원이네요. 2025년 일급 80,240원이니 +2,320원 올랐습니다.
3. 주급 기준
주급으로 받으시는 분들도 많으시겠지요? 주급은 주 40시간 기준으로는 412,800원이나 유급 주휴 8시간 포함하면 495,360원입니다. 2025년 481,440원과 비교하면 +13,920원이 더 발생하는 샘입니다.
4 월급기준
월급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주휴수당을 포함하고 고시 209시간을 기준으로 하면 약 2,156,880원입니다. 2025년 월급 기준(2,096,270원) 대비 약 60,616원 인상된 수준입니다.
간단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10년동안의 최저임금 변화도 그래프로 만들어보았습니다. 인상폭이 많았던 2015년 이후 완만하게 올랐습니다만 물가상승률을 감안한다면 실질적 체감은 잘 안느껴질 수도 있겠습니다. 참고로 2025년 상반기 물가인상률은 대략 2%전후입니다.
참고사항
실제 지급액은 사장님과의 계약조건, 예를 들면 휴게시간, 연장근로, 주휴수당 포함 여부 및 고ㅗ제 항목(4대 보험, 세금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결정된 내년도 최저시급은 2026년 1월 1일부터 시행됩니다.
아 많이들 질문하시는데요, 주휴수당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휴수당은 근로기준법 제 55조에 따라 1구간 규정된 소정근로일수를 개근하면 1주일 평균 1회 이상의 유급 휴일을 제공해야 하며, 받은 시간에 대한 급여가 주휴 수당입니다. 따라서 정부 발표 기준으로 주급과 월급에는 이미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계산됩니다. 그럼 2026년도 최저임금의 시급 / 일급 /주급 / 월급에 대한 포스팅을 마칩니다. 궁금하신 분들에게 도움되시길 바랍니다.